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눈이 가려운 이유와 증상 대처법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거대유두결막염, 감염성결막염)

by 세오민 2021. 12. 14.
반응형

눈의 가려움증은 흔하게 발생 하지만 단순히 눈이 가려운 것이 아니라 다른 증상을 동반하거나, 장기간 신경이 쓰이게 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눈이 가려운 이유인 알레르기성 결막염, 거대유두 결막염, 감염성 결막염 와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 알레르기니까 어쩔 수 없다?
  • 콘택트렌즈로 눈이가렵다다?
  • 눈병이 유행 중이다?

눈이 가려울 때 가능한 질병


질병으로 인해 눈이 가려질 때도 있다. 그 대부분은 소위 눈의 흰자 표면인 결막에 염증을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눈에-손을얹고-눈을감은-여자눈을-손으로-비비는-여자

# 계절성 알레르기성 결막염

눈의 표면에 꽃가루 등에 의해 알레르기 반응이 생기는 것으로 특정 계절이 되면 눈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이다. 이른바 꽃가루 알레르기로서 특히 삼나무 꽃가루로 인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눈의 가려움 , 충혈, 이물감, 눈, 눈물 등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 연중 알레르기성 결막염

일 년 내내 존재하는 알레르기가 원인이 되어 눈의 흰자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이다. 동물의 털, 콘택트렌즈의 먼지 등이 주된 원인이 된다.

증상은 계절성과 다르지 않지만 계절이 바뀌어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계속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거대 유두 결막염

콘택트 렌즈 사용자에게 특유의 결막염이다. 윗 눈꺼풀의 뒷면에 하얀 유두 모양의 종기가 생겨 가려움 , 눈, 충혈, 눈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더러운 콘택트렌즈나 잘못된 취급에 의해 변형된 콘택트렌즈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사용 방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 감염성 결막염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눈에 감염되는 것으로, 눈의 흰자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이다. 눈의 가려움 외에, 눈물이 나오거나 충혈 등의 증상이 보인다.

눈이 가려울 때 대처 방법


# 눈의 건조함 예방

책상 작업에 집중할 때도 의식적으로 눈꺼풀의 횟수를 늘리는 등 눈물의 분비를 촉진하도록 해야 한다. 1시간 정도 모니터 화면에 마주한 후에는 15분 정도 눈을 쉬게 하는 것도 추천한다.

또, 실내가 건조할 경우, 눈이 건조해질 수 있으며, 에어컨이나 난방을 할 때 습도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가습해 주어야 한다.

# 콘택트렌즈 오염

더러운 콘택트렌즈를 계속 사용하면 눈의 가려움 이 발생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를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정해진 착용 시간, 관리 방법을 지켜야 한다. 항상 청결을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며, 부적절하게 사용한다면, 위에서 설명한 결막염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매일 관리가 어렵다고 느낀다면, 일회용 렌즈 등으로 전환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눈을-손으로-비비는-여자아이콘텍트-렌즈를-착용하는-사람

여기까지 눈이 가려운 이유인 알레르기성 결막염, 거대유두 결막염, 감염성 결막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평소에 눈이 가려울 때 대처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확인해 보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