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병충해 정보 겉깜부기병
보리 겉깜부기병 발생환경
겉깜부기병균은 종자의 배에서 휴면 균사체로 생존한다. 감염종자가 발아하면 병원균도 발아하여 경정부위로 이동하고, 종자 원기에 도달한다. 모든 이삭조직은 후막포자로 전환된다. 후막포자는 보리 개화기에 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주두와 자방벽을 침입한다. 균사체는 세포사이로 퍼져나가며 주로 배반조직에 존재한다. 개화기 중 상대습도가 높고 16~22℃의 온도가 유지되면 균의 포자 발아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개화기간을 증가시켜 포자가 화기조직과 접촉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므로 서 균의 침입을 쉽게 한다.
보리 겉깜부기병 증상설명
깜부기병은 속깜부기병과 겉깜부기병이 있다. 겉깜부기병은 출수 직후 씨알에 발생하며 화기 전염한다. 출수기와 성숙기사이에 뚜렷하여 처음 발병된 이삭은 검게 되고 건전한 이삭들 사이에서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심하게 감염된 이삭은 건전한 이삭보다 다소 빨리 출수하는 경향이다. 병에 걸린 씨알은 처음 회색의 얇은 피막에 싸여 있다. 이 후 피막이 찢기고 속의 후막포자가 비산하면 수일 내에 이삭의 축만이 남는다.
보리 겉깜부기병 방제방법
- 적용약제로 종자분의 처리한다.

보리 병충해 정보 그물무늬병
보리 그물무늬병 발생환경
병원균은 균사나 포자의 형태로 종자에 부착하여 종자 전염하거나 병든 잔재물에서 겨울을 지나 다음 해의 전염원이 된다.
보리 그물무늬병 증상설명
주로 잎에 발생하지만 간혹 줄기에도 발병한다. 하엽부터 발생하기 쉽고 잎의 선단부와 가까운 쪽에서 잘 발병한다. 병반은 갈색 그물모양의 무늬가 형성되며 주변은 황화 한다. 그물모양의 병반이 뚜렷하므로 타 병해와 구분하기 쉽다.
보리 그물무늬병 방제방법
- 건전지에서 채종하거나 종자 소독하여 사용한다.
- 피해가 심한 포장은 수확 후 병든 잎, 잔재물을 제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