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개꽃 병충해 정보 아메리카잎굴파리

by 세오민 2022. 2. 21.
반응형

안개꽃 아메리카잎굴파리 병충해 정보


아메리카잎굴파리 형태 정보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은 구더기 모양으로 몸길이가 1.9~2.1㎜로 황색이며, 번데기는 장타원형으로 길이는 1.3~2.3㎜로 황갈색이다. 성충은 작은 파리 모양이며 날개가 있다. 암컷 성충은 수컷보다 약간 크고 배 끝에 잘 발달된 산란관을 가진다. 몸길이는 2~3㎜정도로 몸 색깔은 노랑과 검정이 조합되어 있고, 가슴 등판은 검은색이다. 알은 0.2~0.3㎜로 약간 투명하다. 유충은 황색 또는 담갈색이다. 번데기는 2mm 정도로서 갈색을 띤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아메리카잎굴파리 생태정보

성충은 300~400개를 산란하며, 알은 대부분 잎의 앞면에 산란하지만 뒷면에 산란하는 경우도 있다. 알부터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15℃에서 47~58일, 20℃에서 23~28일, 25℃에서 14~15일, 30℃에서 11~13일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든 기주에서 발육기간이 급격하게 짧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발육 영점 온도는 알 7℃, 유충 8℃, 번데기 10℃이며, 발육 상한 온도는 약 35℃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1월 전남 광주 광산구 거베라 하우스에서 최초 발견되었으며, 유럽으로 부터 화훼류 수입 시 침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에서 노지 월동 여부는 불확실하나, 시설에서는 휴면 없이 연중 발생하므로 15회 이상 발생할 수 있다. 예찰은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예찰할 수 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피해정보

유충은 잎에 구불구불한 굴(터널)을 뚫어 가해하며, 성충은 잎에 붙어 즙을 핥아먹거나 산란하여 잎에 작은 반점을 남기는 피해를 준다. 피해는 국화과(국화, 상추), 가지과(가지, 토마토), 박과(수박, 오이, 참외, 호박, 멜론), 미나리과(셀러리), 쥐손이풀과(거베라) 등에서 나타난다. 유충이 엽육 속에서 굴을 파고 다니면서 가해하며 피해 흔적이 흰색으로 보인다. 초기 피해는 불규칙하게 도로가 난 모양이나 심하면 잎 전체가 갈색으로 말라죽는다.

아메리카잎굴파리 방제방법

시설재배지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성충의 유입을 차단시킨다. 유충의 피해가 없는 건전한 묘를 정식한다. 천적으로 기생벌인 굴파리 좀벌, 잎굴파리 고치벌이 있다. 이 해충은 잎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생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과실에는 직접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피해가 직접 손실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발생이 염려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농약사용은 신중히 해야 한다. 경제적 피해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약제방제를 한다

안개꽃 파밤나방 병충해 정보


파밤나방 분포정보
1926년 황해도와 평안남도에서 사탕무를 가해한다는 것이 처음 기록이 있으나 그때는 중요한 해충은 아니었다. 1988년 8월 전남 해남, 무안, 진도 등지의 지황, 배추, 파, 대파 등에 큰 피해를 주었다. 발생량은 전남, 경남, 제주 등 주로 남쪽 지역에 많으나 중부 이북 지역에서도 해에 따라 발생량이 많다.

파밤나방 형태 정보
파밤나방의 성충은 앞날개 폭이 좁은 황갈색이며,날개 중앙에 청백색 또는 황색점이 있고 옆에 콩팥 무늬가 있다. 몸길이는 15~20㎜,날개 편 길이 25~30㎜로 담배나방,담배거세미나방,도둑 나방보다 작다. 알은 흰색으로 30~100여 개씩 무더기로 낳고 백색의 먼지 같은 인편으로 엉성하게 덮여있다. 유충은 몸색의 변이가 심하여 황록색~흑갈색이고, 보통은 녹색인 것이 많다. 녹색형은 기문 주변에 주홍색의 고리를 가지고 있고,때때로 각 마디 등면에 검은 막대형 무늬가 있다. 부화 유충은 약 1㎜이고,노숙 유충은 약 35㎜이다.

파밤나방 생태정보
고온성 해충으로 성충이 5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0월까지 발생한다. 8월 하순부터 10월 하순에 성충 발생이 많으며, 이때를 전후하여 피해도 많이 발생하며 11월까지도 피해가 나타난다. 성충의 산란기간은 5~8일, 알 기간은 2~5일, 유충 기간은 9~23일, 번데기 기간은 5~14일이다. 암컷은 난괴로 1,000개의 알을 낳는다. 다자란 유충은 35㎜ 정도이며, 황록색~흑갈색으로 체색 변이가 심하지만 보통은 녹색인 것이 많다.

콩, 완두, 무, 파, 양파, 감자, 토마토, 고구마 등을 가해하며 1988년 8월 전남 해남, 무안, 진도 등지의 지황, 배추, 파, 대파 등에 큰 피해를 주었다. 발생량은 전남, 경남, 제주 등 주로 남쪽 지역에 많으나 중부 이북 지역에서도 해에 따라 발생량이 많다. 노지에서 1년에 4~5회 발생하며 제주도 및 남부 해안지역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1회 이상 더 발생할 수 있다. 예찰은 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여 발생 예찰을 할 수 있다.

파밤나방 피해정보
유충은 잡식성으로 채소, 화훼류, 전작물 등을 널리 가해한다. 파에서는 잎 속으로 들어가 안에서 가해하며, 결구 식물에서는 결구 속으로 파고 들어가 피해를 주고, 그 외 작물은 잎을 가해한다. 2~3령까지는 집단으로 가해하고 그 후에는 분산하여 가해한다.

파밤나방 방제방법
농약에 저항성이 잘 생겨 방제하기 쉽지 않은 해충이며, 비교적 1~2령의 어린 유충 기간에는 방제 효과가 높으나. 3령 이후의 큰 유충이 되면 방제효과가 떨어진다.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