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기 폐경에 대한 난포 활성화 요법이란?

by 세오민 2021. 11. 15.
반응형

 


조기폐경은 우리가 잘 알고 있다시피 어떤 특정의 원인에 따라 난소 내의 난자의 기초가 되는 세포인 난포가 감소하여 40세 미만으로 무월경 이 되는 병을 말하며, 최근에는 20대에도 발생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조기 폐경을 겪은 사람에게 실행되는 난포 활성화 요법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조기폐경과 난포


조기 폐경은 불임의 원인 중에서도 비교적 많으며 여성 100명 중 1명이 발병한다고도 한다. 과거에는 조기 폐경 환자는 자신의 난자로 임신 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젊은 여성이 제공 한 난자를 ​​사용하여 체외 수정을 할 수 있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조기 폐경 환자라도 난소 중에는 미숙한 난포인 원시 난포가 남아 있을 수 있다. 이 휴면 상태에 있는 원시 난포를 특수한 약을 이용해 자극해서 활성화 시키고, 성숙시켜 체외 수정을 실시해, 환자의 체내에 되돌리는 치료법을 난포 활성화 요법이라고 한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과 공동 개발한 난포 활성화 요법을 이용해 2013년에 세계 최초로 조발 폐경 쪽의 임신, 분만에 성공했다. 난포 활성화 요법의 개발에 의해, 조발 폐경의 환자라도 자신의 난자에 의해 임신해, 아이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난포 활성화 요법의 구체적인 방법


간단하게 한쪽 난소를 제거하고 체외에서 난포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말하게 된다. 먼저 복강경을 사용하여 한쪽 난소를 꺼내 난소에 얼마나 많은 난포가 남아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때 사용하는 난소조직은 최소량의 것이며, 그 외의 난소조직은 장래의 난포 활성화 요법에 대비하여 동결 보존한다. 난소의 상태에 따라 난소 조직을 냉동 보관하지 않고 즉시 배양하고 2 일 후에 이식할 수 있다.

난소 조직에 휴면 상태의 난포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일부 난소 조직을 단편화하고 난포 활성화 요법을위한 용액에 2 일간 담그고 난포를 깨우고 다시 복강경을 사용하여 난관 부근으로 되돌린다.

그 후는 1~2주일에 1번, 초음파 검사와 혈액 중의 호르몬 농도 측정에 의해 난포가 자라고 있는지를 확인해, 성숙한 난포에까지 성장한 단계로, 통상의 체외 수정과 같이 질로부터 채란하고 남편의 정자와 체외 수정한다. 체외 수정에 의해 수정란을 얻을 수 있으면, 며칠간 배양액 중에서 수정란을 기르고, 일단 동결 보존을 한다. 이 사이에 호르몬제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자궁을 착상하기 쉬운 상태로 정돈하고 수정란을 자궁으로 되돌린다.

또한, 동결 보존하고 있는 난소의 기능은 반영구적으로 보존되기 때문에, 환자의 타이밍이나 의사에 의해 체내에 이식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