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물 균핵병 병충해 정보
참나물 균핵병 발생 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 내에서 균핵으로 월동하거나 감염된 식물체내에서 균사 상태로 월동한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고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 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병원균은 배추과,가지과,콩과 등 많은 작물에 병을 일으킬 수 있다.
참나물 균핵병 증상 설명
잎과 줄기 하부가 담갈색으로 변하면서 부패된다. 감염 부위에는 흰 균사가 자라고,나중에는 부정형의 흑색 균핵이 형성된다. 심하면 내부까지 부패하며 악취는 발생하지 않는다.
참나물 균핵병 방제방법
<경종적 방법>
병든 포기는 주변 흙과 함께 제거한다.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 다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비닐로 멀칭재배한다. 담수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유기농업자재 활용 방법>
작물에 발생하는 균핵병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 허용물질은 미생물제,식물 추출물(마늘 및 마늘 부산물),클로렐라 배양액 등이다. 그러나 이들 유기농 업자 재가 참나물 균핵병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 없으므로 약효,약해에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참나물 잿빛곰팡이병 병충해 정보
참나물 잿빛곰팡이병 발생 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월동하여 이듬해의 전염원이 된다.
발아한 균사에서 분생 포자가 바람에 날려 최초의 병반을 만들고 그 이후는 새로 생긴 병반 표면의 분생 포자에 의해 공기 전염한다.
병원균은 포화습도 상태가 9시간 이상 지속될 때 발아하므로 시설재배나 장마철에 많이 발생하는 병해이다.
이 병은 15~20℃의 저온에서 심하게 발생하며 일단 발생하면 조건이 맞을 경우 급속히 번져 피해가 크다.
참나물 잿빛곰팡이병 증상 설명
주로 잎에 발생하는데 잎의 끝부분에서 안쪽으로 확산하는 삼각형의 병반이 생긴다.
병반은 처음에는 수침상으로 진전되며 마르면 그 부위에 잿빛의 곰팡이가 생긴다.
주로 습도가 높은 시설재배에서 많이 발생하며 병원균은 저온성이다.
참나물 잿빛곰팡이병 방제방법
<경종적 방법>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을 모두 모아 태우거나 토양 깊이 매몰하여 전염원을 제거한다. 시설 안을 다습하지 않도록 하고,온도가 너무 낮지 않도록 관리한다. 배수를 좋게 하며 밀식을 피하고,포기 사이에 통풍과 투광이 잘 되도록 관리한다.
<유기농업자재 활용 방법>
작물에 발생하는 잿빛곰팡이병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 허용물질은 석회보르도액,유황제,미생물제제,식물 추출물,클로렐라 배양액 등이 있다. 이 허용물질들은 참나물 잿빛곰팡이병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 없으므로 약효,약해에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